결로란 무엇인가? 문제와 해결방안
- 다보수닷컴
- 0
- 결로현상
표면결로와 내부결로가 있다.
표면결로는 벽과 배관, 유리면의 표면온도가 낮아지고 표면 부근의 공기 온도가 결로 온도 이하로 되면 발생하는 이슬맺힘 현상을 말한다. 표면이 결로수에 의하여 습기를 머금고 때나 곰팡이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발생원인은 외부온도 와 실내온도의 차이가 클 경우, 내부습도가 상당히 높을 경우 등.
방지대책은 실내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것. 빨래 등 습기있는 물건을 실내에 널지 말것. 건조한 공기를 자주 환기 시킬 것 등이다.
표면결로
천장ㆍ벽ㆍ마루 등 물체의 표면에 생기는 결로.
물체의 표면 온도가 표면에 접하는 젖은 공기의 노점 이하이면 표면 결로가 일어나고,
이것을 흔히 땀을 흘린다(sweat)고 한다. 내부결로에 상대되는 말.
내부결로
천장·벽·바닥 등 구조체 내부에서 생기는 결로. 표면결로에 상대되는 말.
- 결로
수분을 포함한 대기의 온도가 이슬점 이하로 떨어져 대기가 함유하고 있던 수분이 물체 표면에서 물방울로 맺히는 현상이다.
공기중에는 약간의 수증기가 포함되어 있는데, 그 양은 같은 기압 아래서 온도에 따라 최대한도가 정해져 있다.
어떤 온도의 공기가 그보다 차가운 벽에 접촉하여 기온이 내려갔다고 하면, 이 공기의 상대습도(相對濕度)가 올라간다. 그것이 이슬점[露點]에 이르면 수증기는 물방울이 되어 벽면에 맺힌다.
건물 내부는 일반적으로 옥외보다 온도가 높고, 수증기를 발산시키는 근원이 많기 때문에 안팎의 온도차가 크며, 또한 환기를 자주 하지 않는 겨울철에는 결로에 의한 건물의 피해가 문제될 때가 있다.
결로를 방지하려면 옥내의 환기나 공기의 유통이 잘 되도록 하여 습도가 높은 공기가 정체되는 것을 피하고, 물주전자 등 수증기 발산의 근원이 되는 부분은 국부적인 배기를 한다. 가급적 건물의 보온정도를 높여서 천장이나 벽의 표면온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또한 결로하기 쉬운 부분을 흡습성(吸濕性)이 있는 재료로 마무리하면 조절작용에 의해서 피해를 적게 할 수 있다.
수증기
온도나 압력에 의한 물의 상태변화로 생성된 무색, 무취의 투명 기체로,
물의 임계온도인 374℃ 이상에서 유일하게 존재할 수 있는 상태인데,
공기 중에는 0.001%가 포함되어 있다.
습기
공기중에 존재하는 수분과 벽체등의 고체내에 있는 수증기 또는 수분.
- 상대습도 산출
상대습도는 주어진 온도의 포화 수증기량에 대한 실제 수증기량의 비 또는 포화수증기압에 대한 실제 수증기압의 비를 백분율로 표시한 것이다.
일상생활에서 공기의 건습정도를 나타낼 때 사용하는 습도가 바로 상대습도이다.
수증기압은 대기 중에 포함된 수증기의 압력을 말한다.
특히 포화수증기압은 주어진 온도에서 수증기를 최대로 포함했을 때의 수증기압이다.
현재의 수증기압과 포화 수증기압을 알면 상대습도를 구할 수 있다.
아래의 식으로 상대습도를 구할 수 있고, 건습구 온도계를 통해 구할 수도 있다.
상대습도 = ( 현재 수증기압 / 포화수증기압 ) * 100
- 기온과 상대습도의 일변화
기온은 낮에 높고 밤에 낮다.
그러므로 낮에는 기온이 높아 포화 수증기량이 크므로 상대습도가 낮고, 밤이나 새벽에는 기온이 낮아 반대로 포화수증기량이 작아서 습도가 높다.
외부 냉기가 유입되는 부위에 실내 수증기가 차가운 벽면 표면에 응결되어 물방울이 맺히는 현상을 결로현상이라 한다. 결로가 생기는 이유는 경계면의 온도 차이에 있다.
벽 같은 것으로 내부와 외부가 차단되게 되면 온도 차이로 인해 그 경계면에 결로가 발생하게 된다.
집은 결로가 생겨 내부에 물이 발생하게 되는 현상이 지속되면 곰팡이가 서식하고 좋은 환경이 되어 아토피나 기관지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결로로 인해 곰팡이가 생기기 시작하면 신체적으로나 정신적으로 해롭고 주거 만족도도 떨어지게 된다.
- 주택에 결로가 생기는 원인
주택에서는 실내 외 온도 차이가 심한 경우에 결로현상이 나타나는데 외부와 내부의 온도 차이가 15℃ 이상 난다거나 내부 습도가 상당히 높을 경우에 공기 중의 수증기가 벽이나 천장 또는, 바닥에 닿게 되면서 응축이 되어 물방울이 맺히게 된다.
- 결로가 생기는 주요 원인 - 환기 생활습관
결로로 인해 곰팡이가 생기면 건축에 하자가 생긴 걱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많은데
사실 결로가 생기는 가장 큰 이유는 환기를 하는 생활습관에 있다.
결로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집들 중 하나가 어린아이들을 둔 젊은 부부들이 사는 집인데
겨울철에 춥다고 환기를 하지 않고 문을 꼭 닫은 채 난방을 틀고 건조하다고 가습기까지 틀게 되면
결로가 안 생기는 게 이상할 정도로 결로를 위한 최적의 환경이 갖춰지게 된다.
오래된 아파트나 단독주택은 오히려 결로가 덜 생기는 경우가 있다.
요즘 창호는 단열성능이 좋아 외풍이 없지만 예전 집들의 샷시는 기밀성이 떨어져 틈새로 공기의 순환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춥고 귀찮더라도 결로를 예방하기 가장 좋은 방법인 환기를 주기적으로 하는 습관을 갖도록 하자.
- 결로가 생기는 주요 원인 - 단열공사 부실
내부 투습성이 높은 재료를 사용하여 단열할 경우나 이음매가 제대로 되지 않을 경우 내부에서의 결로가 생기게 된다.
또한 단열재를 내부에 꼼꼼하게 채우지 않았거나 틈새가 벌어질 경우 냉, 열교 현상으로 내부 결로 또는 부분 결로가 발생할 수 있다.
- 결로 해결방안 - 외벽 발수코팅 시공
외벽에 크랙이 있는 경우 외부 습기가 집으로 유입되어 결로와 곰팡이가 생길 수 있다.
외벽에 크랙이 있는 경우 보수공사를 해야 한다. 발수코팅제를 발라 수분이 침투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 좋다.
발수는 흡수성이 있는 건축물 표면에 물이 침투되지 않도록 발수제를 도포하여
물방울이 벽을 타고 흘러 떨어지게 해서 수분 자체가 내부로 침투되지 못하게 하는 방수공법을 말한다.
- 결로 해결방안 - 단열시공
벽이나 천정에 단열이 제대로 되어있지 않다면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로 인해 결로가 발생하게 된다.
결로가 발생한 곳은 곰팡이를 제거한 후, 단열시공을 한다.
도배지를 교체하는 경우에도 방습지를 먼저 바르고 시공하는 것이 좋다.
- 결로 해결방안 - 내부 습도 줄이기
주택 천장에 통풍구를 만들어 밀폐된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는 방법이 있다.
공기가 순환하도록 숨구멍을 내부에 만들어 주는 방법이다.
구멍을 뚫기 어렵다면 제습기를 사용해서 내부 습도를 조절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댓글 0
-
사용자 정의 항목 최근 주택 인테리어와 리모델링에 대한 관심은 점점 높아지는데 주택 수리 및 인테리어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는 최하위를 기록하고 있다.(... -
사용자 정의 항목 우리나라는 1962년 이후 제1차 경제개발계획의 시작으로 공업단지, 댐, 고속도로 등 국토기반 시설의 건설이 활발히 추진되면서 건설 산업은... -
사용자 정의 항목 결로현상 표면결로와 내부결로가 있다. 표면결로는 벽과 배관, 유리면의 표면온도가 낮아지고 표면 부근의 공기 온도가 결로 온도 이하로 되... -
-
사용자 정의 항목 장비를 잘만 활용하면 문제시 되는 하자를 손쉽게 찾아낼수 있다. 위의 그림은 누수를 단 한번에 찾아낸 경우이다. 아래의 그림은 다른 볼일...